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5

How to import pymysql in AWS Lambda 방법2 pymysql을 zip파일로 만들어서 하기 주의!!! zip파일을 업로드 한다면 기존 작성한 lambda함수 전체를 날리고 이 zip파일로 덮어쓴다는 것이기에 제발 유의하시길 바란다. (나는 1주일간 작성한 코드를 날려먹었다..) 참고 : https://levelup.gitconnected.com/aws-lambda-with-rds-using-pymysql-23ad3cde46c8 2021. 5. 18.
반숙계란이 왔어요! 반숙계란의 반란이 등장!! (Soft-boiled egg) 반란이. 등장하다. 이건 "오빠 돈 오빠가 삼"임을 명백히 밝힌다. 때는 바야흐로 재작년 기숙사 식당... 반숙 계란을 처음 먹어 봤는데 굉장히 간도 잘 되어있고(충분히 짭쪼름하고) 계란 노른자가 넘넘 촉촉해서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있다. 취준하면서 갑자기 반숙계란이 너무너무 먹고 싶었다... 집에서 만들면 왜 꼭 그런 촉촉함과 간이 잘 안 들어가는지 잘 모르겠지만..ㅎㅎ 마침 반숙란이 너무너무 먹고 싶은데 오빠가 마트에서 사주었다. 오빠는 날계란인줄 알고 샀는데.. 내가 까보니 반숙란이라고 해서 엄청 놀랐었다고 한다..ㅋㅋㅋㅋㅋㅋ 반숙란은 5개가 들어 있었고, 그 자리에서 2개를 먹었다는건 안비밀이다. 사진은 아래와 같다. 대망의 촉촉한 노른자를 공개하겠다. 이렇게 순식간에 두 알을 먹어버리고 자소서를.. 2021. 5. 13.
멀티캠퍼스 국비과정 후기 2탄 - 필기 평가 & 면접편 1. 필기 시험 서류 전형이 통과되고 나면 IT와 관련돼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지 필기 시험을 치루게 된다. 서류 넣고 하루~이틀내에 메일로 연락이 온다. 인기가 많은 국비교육인 만큼 지원자의 진정성과 지식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 같다. 멀티캠퍼스 페이지에서 진행이 되며, 테스트는 25분 동안 25문제 가량풀면 된다. 이 때 알아봤었던 경험으로는 코로나 이전에는 대면으로 시험이 이루어졌던 것 같은데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만큼 문제가 조금 더 어렵다고 느껴졌다. 시험 유형 제일 중요한 시험 유형은 의외로 전 IT분야를 다 아우르는 문제가 나왔다. 과거의 다른 교육과정을 보면 가령 데이터면 데이터 관련해서 나온다고 했는데 클라우드는 Web과 관련되어 있고 자동화와 관련되어 있다 보니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가 출제.. 2021. 5. 5.
멀티캠퍼스 국비과정 후기 1탄 - 선택이유 & 자소서편 0. 국비과정 선택 이유 멀티캠퍼스 MSA 클라우드 국비과정을 수강하였다. 졸업작품으로 AWS를 활용해서 진행하였는데, 이 과정 속에서 클라우드라는 분야에 관심이 생겼다. 하드웨어 제어권을 가지지 않고 SW로만 내가 원하는 만큼의 Database용량을 잡고, 사용할 때만 접속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신기하였다. 그래서 한 번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에 알아보았고, 2020년 끝자락에 신청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뿐 아니라 IoT, AI, 빅데이터도 있는데 빅데이터는 엄청 빨리 모집인원이 다찼다고 했다. 실제로 같이 들은 수강생으로부터 빅데이터 수업반이 다차서 예비등록으로 했는데 마지막 날까지 자리가 남지 않아서, 클라우드 반으로 들어왔다고 했다. 아무래도 금융/의료 등 다양하게 필요로 하.. 2021. 5. 4.
(수정 21.05.13 기술보증기금 인턴 합격, IT기업 정규직 합격!!)2021.04 세 번째 상반기 취준일기 대학교 막학기 4-2학년 때부터 흔히 말하는 자기소개서를 쓰기 시작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학교 공부에는 충실했고, 전액 장학금 받고 추가적으로 생활비는 아르바이트하면서 벌었고, 가고 싶어하는 직무에서 프로젝트도 꽤 심도 있고 장기적으로 했는데, "취업준비"가 무엇인지 몰라 시간이 오래 걸렸던 것 같다. 내가 입학했을 때가 16년도였으니, 선배들은 10학번도 있었고 12학번도 있었는데 다들 취업하고 취업계 내서 학교를 안나오는 경우도 많았고, 취업해서 학점 신경 안쓰고 다니는 선배들도 있었다. 그런모습을 봤으니, 졸업하기 전에 취업이 되지 않은 내 모습에 너무 마음이 조급해졌다.. 해가 넘어갈 수록 더 그런 마음이 든 것도 사실이었다. 최종 결과가 나오고 오늘을 기점으로 정리를 해보았다. 19년도에 쓴 자.. 2021.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