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의 개발개발한 하루

linux 파일 수정 시간 초시간 상세하게 보는 방법

by ju니어 2023. 2. 21.
728x90
반응형

 

 

1. stat -c '%y' [파일이름]

 

linux에서 파일 수정시간을 초까지 보는게 아니라 msec까지 봐야할 경우가 있다.

같은 파일이 들어왔는데, 시간이 다른 경우 초까지 보면 같은 경우가 많고

msec까지 봐야 다른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이 때 ls -al로 본다면 내림차순 정렬로 초까지 보여서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또 최근 파일이면 초까지 보이는데, 좀 오래된 파일의 경우 연도로 나와서 초까지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stat -c '%y' [파일이름] 이렇게 명령어를 치면 확인이 가능하다

 

 

오래된 파일도 마지막 수정시간이 msec까지 볼 수있다.

 

 

 

 

 

2. date -r [파일이름]을 통한 마지막 수정시간 확인

 

마지막으로 수정한 시간 초를 두자리 까지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date -r [파일 이름]

 

과거 파일도 마지막 수정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연도만 알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파일명 뒤에 옵션 '+%Y(대문자'를 추가하면 된다.

앞에 꼭 +를 추가해야한다.

 

- 성공한 모습

 

 

- 만약 y를 소문자를 하면 연도 뒷자리 두 자리까지만 나온다.

 

 

3. stat [파일이름]을 통한 atime, ctime, mtime 및 파일 상태 확인

 

1) atime (access time, 접근시간의 줄임말)
atime은 파일에 접근한 시간을 나타내는데, 파일을 열 때 마다 변경된다. 
즉 vi 에디터나 cat 명령으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한다면 atime이 변한다는 것이다.

 

2) ctime (change time, 변경된 시간 줄임말) 
파일의 속성, 권한, 파일 크기 등 inode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면 ctime도 변경된다. 

 

3) mtime (modification time, 수정 시간 줄임말)
파일 내용을 수정한다면, mtime 시간이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mtime이 변경되면 ctime(변경된 시간), atime(접근시간)이 모두 변경된다.
ls 명령으로 출력되는 값은 기본적으로 mtime이다. (ls 디폴트 시간 = mtim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