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 응답코드 확인해보는 테스트를 했다.
참고 영상은 다음과 같다. 나중에 다시 한 번 더 봐야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yQ20jZwDjTE
기본적으로 http 응답이 제대로 왔으면 200을 출력하는데, jupyter notebook으로 확인했을 때는
응답코드 200이 찍혔다.
import requests
res = requests.get("https://naver.com")
print("응답코드 :", res.status_code) # 200이면 정상

강제로 에러코드 생기게 url을 만들어서 응답코드 이상하게 나오도록 해보았다.
import requests
res = requests.get("http://naver.hello.com")
print("응답코드 :", res.status_code) # 200이면 정상
if res.status_code == requests.codes.ok:
print("정상입니다.")
else :
print("문제가 생겼습니다. 에러코드 [", res.status_code, "]")

res.raise_for_status()를 통해서 현재 발생한 에러를 확인할 수 있다.
문제가 있으면 바로 종료하고, 문제 없으면 스크래핑을 진행하도록 하면 된다.
에러가 발생했을 때, 하단의 if ~ else문은 작동하지 않게 되고 발생하지 않으면 if문 내 "정상입니다"를 출력하게 된다.


반응형
'개발자의 개발개발한 하루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iframe 렌더링된 페이지 크롤링 하기 (0) | 2022.02.16 |
---|---|
python 3에서 바뀐 것 (출력방식, 문자열 인코딩) (0) | 2022.02.14 |
파이썬 크롤링 User-Agent (0) | 2022.02.09 |
파이썬 정규표현식 re 사용 (0) | 2022.02.09 |
파이썬 크롤링 무료 공부 사이트 (0) | 2022.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