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관련 정보글/IT교육 추천

[클라우드 교육 추천] 카카오클라우드 스쿨 3기 (~2023.04.18)

by ju니어 2023. 3. 27.
728x90
반응형

 

 

카카오에서 카카오클라우드 스쿨 3기를 모집한다고 한다.

많은 기업에서 클라우드를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은 지원해도 좋을 것 같다.

카카오에서 진행하다 보니 지난 1기의 경우 50명 뽑는데 806명이 지원했다고 한다. 경쟁률이 16:1정도 된다..

국비교육이긴 한데 카카오에서 한다 보니.. 경쟁률이 매우 높았다.

국비교육인데 인성검사까지 있다고 해서 놀라웠다..!

취업난이기도 하고 I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 이번엔 경쟁률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출처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공식 홈페이지

 

 

1. 모집 일정

- 2023.03.06 ~ 2023.04.18 13시까지
 
 

 

2. 선발 과정

- 총 56명 (카카오 클라우드 개발자 클래스 28명, 카카오 클라우드 엔지니어 클래스 28명)

 

1) 서류전형 및 온라인 사전테스트
- 2023.04.20

 

2) 서류 전형 합격 발표
- 2023.04.24

 

3) 인성검사 및 면접 전형

- 개발자과정 : 2023.04.26

- 엔지니어과정 : 2023.04.27


4) 최종합격발표
- 2023.05.02


출처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공식 홈페이지
출처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공식 홈페이지

 

 

 

3. 교육 기간

- 2023.05.09 ~ 2023.11.10 (1일 8시간, 총 6개월(1,000시간)) 

 

 

 

4. 지원 혜택

- 6개월간 사용 가능한 노트북 지원 (프로그램도 설치되어 있음)

- 카카오 재직자 멘토의 실무 중심 프로젝트 & 취업 멘토링이 진행

- 카카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

- 카카오 직무 설명회 및 모의 면접 진행

 

 

 

5. 지원 대상

- 국민내일배움카드 보유 또는 발급 가능한 자 (-> 내일배움카드 발급 대상 무료교육 & 훈련수당 매달 30만원 지원)
- 전공 제한 없음
오프라인 교육 

-> 교육시작(5.9~)은 한국전파진흥협회 목동사옥에서 진행, 6월 말 강의장 구축이 완료 후 LG가산디지털센터에서 진행 예정

 

 

 

6. 교육 과정

- FAQ로 클라우드 개발자 클래스와 클라우드 엔지니어 클래스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놓은 글이 있었다.

- 클라우드 개발자 클래스는 클라우드 인프라 & 플랫폼을 분석/설계/개발하는 교육이고, 카카오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코딩을 통해 구현한다고 한다.

- 클라우드 엔지니어 클래스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프라 구축을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부터 서버까지 이론과 기술을 익히고 가상화 형상관리 등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라고 한다.

 

출처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공식 홈페이지

 

 

 

- 전체적인 교육과정을 표로 정리했던데, 여기서 개발자 클래스와 엔지니어 클래스 교육과정이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다.
- 개발자 과정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개발을 한다면, 엔지니어는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향이 더 크다.
- 공식 사이트의 오타인지 모르겠지만 1기라고 적혀있는데 아마 3기가 아닐까 싶다. 

출처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공식 홈페이지

 

 

 

 

- 각각의 상세한 교육과정은 아래와 같다. 각각 클래스 교육 과정마다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여봤다.

 

 

1) 개발자 클래스

내가 들었던 MSA 클라우드 교육과정 보다 훨씬 밀도 있고 다채로운 교육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1학기]
- 4개월 동안 교육을 진행하는데, 웹부터 데브옵스까지 하다 보니 8시간 공부하고 복습할 양도 엄청 많을 것 같다.
- 웹개발을 위한 자바스크립트와 node.js, 리액트까지 배운다니까 개발해보면서 오.. 백엔드가 맞겠다, 프론트가 맞겠다, 인프라개발이 맞겠다 하는 느낌이 들 것 같다.
- 특히 리눅스를 공부하는데, 클라우드를 하려면 인프라이기 때문에 쉘에 접속해서 확인해야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자주 쓰는 명령어나 중요한 명령어는 기록해뒀다가 나중에 실무에서도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2학기]
- 4학기 동안 배운 걸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텐데 프로젝트 주제인지 모르겠지만 WebRTC API를 활용영상통신 및 채팅 서비스 등 5가지 주제가 적혀 있었다. 한 팀씩 맡아서 진행할 지, 아니면 모두 같은 주제로 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다르게 할 지는 잘 모르겠지만 배운 것 + 찾아보면서 진행해야할 것이다.
- 멘토링을 진행한다고 적혀있긴 했는데, 자소서나 면접특강으로 취업지원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공식 홈페이지

 

 

 

 

2) 엔지니어 클래스

개발자 과정과 다르게 개발 보다는 관리 차원에서 배워야 할 교육과정으로 보인다.

[1학기]
- 프로젝트를 할 때 개발에서는 프론트를 배웠다면, 엔지니어 클래스에서는 백단으로 Django를 배우는 것 같다.
- 그럼 웹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개발자 클래스 + 엔지니어 클래스 이렇게 해서 역할 분담해서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 DataBase도 클라우드에서 관리를 진행하기에 무료 DB인 mariadb로 교육이 진행되는 것 같다.
- 도커와 쿠버네티스에서 로드밸런싱을 위해 포트와 ip가 중요한데 첨엔 좀 헷갈린다. 그래서인지 ip할당 기법을 기초로 배우고 리눅스 shellscript도 짧지만 24시간 배운다. 오.. 엄청 밀집도 있고 핵심만 배우는 것 같아서 좋아보인다.

[2학기]
- 개발자 클래스처럼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더불어 취업 지원도 진행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 개발자 클래스와는 다르게 프로젝트 시간이 336시간으로 조금 더 짧은데 보니까 버전관리와 성능 모니터링 관련해서 24시간 추가 교육이 들어가있다. 
- 진짜 관리 & 자동화를 위한 교육과정인 것 같아서 들으면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출처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공식 홈페이지

 

 

 

 

 

자세한 사항은 공식사이트에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kakaocloudschool.rapa.or.kr/ft/main.do

반응형

댓글